문화류씨의 고택 구례 운조루의 주인은 고려 태조 왕건의 오른팔 류차달의 후손이다. 조선 영조때 문·무관을 섭렵한 귀만와 류이주(柳爾胄,1726∼1797)는 대구에서 살다가 구례 지리산 자락이 풍수지리학 상 금가락지, 금거북이, 다섯보배들이 모인 명당임을 알아채고 터를 잡았다. 무려 7년간 조선의 건축미학을 총동원해 이 고택을 짓는다.
무관으로 출발해 지금의 순천일대인 낙안군수로서 행정 리더도 했던 류이주는 건축에도 능했다. 정조가 등극한 후 수원화성 축성하는데에도 큰 기여를 했다고 전해진다.
대문 윗쪽에 호랑이 뼈가 걸려있는 고택 입구를 지나 곳간에 가면 뒤주에는 ‘누구든 열어 가져갈수 있다’는 뜻의 ‘타인능해(他人能解)’가 적혀있다. 문화류씨 종가, 나눔의 상징이다.
종가 여성들의 휴식권 보장, 힐링을 위해 가장 전망좋은 곳에 마련한 운조루 안채 2층 다락방
다 나눠줘서 주인 가솔도 끼니를 걱정할 때면, 주민들과 함께 소나무껍질 끓인 죽 ‘송쿠죽’을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문화류씨 귀만와종가의 운조루 안채 2층 다락방은 없어도 될 방이지만, 집안 여성들과 노모가 앉아서 바쁜 종가의 일상 속에 망중한 한숨 돌리며 바깥 풍광을 구경할 수 있도록 배려한 곳이다. 이곳은 지리산 노고단 남쪽 형제봉과 왕시루봉 아래에 있고, 섬진강 너머 오봉산을 마주보는 명당으로 평가된다.
섬세한 배려의 미학, 나눔의 고택, 운조루를 지은 류이주가 문경새재에서 채찍으로 호랑이를 쫓아낸 대구 입석동 출신 무관이라는 점은 이채롭다. 대문 위쪽 호랑이가 바로 그 이야기의 증거이다.
배려의 마음은 여성의 휴식권과 조망권을 배려한 2층 다락과 창문, 길손에게 내주는 24칸 행랑채, 풍수설을 반영한 부엌위치, 굶는 사람을 배려한 낮은 굴뚝, 노인과 수레가 드나들 수 있는 경사로 돌길 등 건축미학에도 반영됐다.
기록유산도 빛난다. 류이주의 고손자 류제양(1846~1922)은 매천 황현과 교유하며 1만 편의 시를 지었다. 그리고 6세부터 70년간 ‘시언(是言)’이라는 일기를 썼다고 한다. 운조루는 전적·고문서류 352종 811책, 676건 등 기록물과 김정희가 쓴 편액·병풍·그림·글씨·수레바퀴 등 민속자료들을 보존하고 있다.
운조루
운조루 곳간 뒤주에는 ‘누구든 열어 가져갈수 있다’는 뜻의 ‘타인능해(他人能解)’가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