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운조루 벤치마킹한 광주의 쌀 뒤주 화제

광주 금호1동사무소 `사랑의 쌀뒤주


설 명절을 앞둔 25일 광주 서구 금호 1동 사무소에 ‘사랑의 쌀 뒤주’(사진)가 등장했다.


이날 금호 1동 사무소 입구 현관엔 직원과 주민 등 110여명이 나와 ‘쌀 뒤주’ 설치식을 가졌다.


이 뒤주는 누구나 쌀을 갖다 채울 수 있고, 끼니를 잇기 어려운 사람이면 언제든지 필요한 만큼 가져갈 수 있도록 만들었다.


쌀 80㎏ 들이인 이 뒤주는 아래에 늘 쌀 1되 가량이 담겨 있는 서랍장이 마련돼 있다. 이를 당기면 쌀이 그릇으로 쏟아지도록 만들었다. 뒤주 앞에는 ‘미안해 하거나 부끄러워하지 말고 따뜻한 밥을 지어 드세요’라는 안내문도 붙어있다.


뒤주를 만든 동사무소 직원들은 전남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雲鳥樓·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 8호)에 있는 쌀 뒤주를 벤치마킹했다고 귀띔했다. 운조루는 영조 52년(1776년) 만석군 류이주(柳爾胄)가 세운 99칸 짜리 한옥. 여기에 있는 통나무 쌀 뒤주는 류씨 집안의 선행을 알리는 증표로 전해 내려 오고 있다. 이 뒤주 밑부분 구멍 마개에 쓰인 ‘타인능해(他人能解)’라는 글씨는 유명하다. ‘누구나 마음대로 쌀을 퍼갈 수 있다’는 의미다.


이승우 동장은 “우리 동네는 국민기초수급자 등 관리대상 주민 1,500여 가구 2,700여명에 이를 만큼 형편이 어려운 곳”이라면서 “뒤주가 가난한 사람들의 배고품을 달래는 존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뒤주엔 벌써 진흥기업(대표 김호태)이 매달 20㎏들이 쌀 15포대, LG에어컨 특판(대표 김응식), 유진정(대표 정윤진)에서 10포대씩을 넣어주기로 약속했다.


이 동사무소는 첫 날 주민들이 가져온 쌀 20여포대를 창고에 보관하면서 쌀이 떨어질 때마다 채워넣기로 했다.

Comments

[전북일보] 타인능해(他人能解)

댓글 0 | 조회 22
정상권 / 학교법인 성강학원 이사장 경영학박사타인능해(他人能解)전남 구례군 토지면에 오미리에는 문화류씨 10대 종가인 운조루(雲鳥樓)가 있다. 조선 영조 52년(1776년)에 낙안… 더보기

[조선일보] 명문고택, 운조루 -조용헌

댓글 0 | 조회 21
지난 2002년 ‘500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라는 책을 출간한 뒤 상당 기간 시달려야 했다. 책을 낸 뒤 이처럼 시달린 경우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 시달림은 주로 좌파진영에… 더보기

[오마이뉴스] 금환락지(金環落地) 명당 구례 운조루(雲鳥樓)

댓글 0 | 조회 20
글,사진 : 고병하지난 6월 6일 현충일에 가족과 함께 구례쪽으로 나들이를 갔다.화엄사나 연곡사같이 이름난 곳이 아니라 늘 지나치기만 했던 운조루로 향했다. 미리 인터넷으로 검색을… 더보기

[파이낸셜뉴스][특별기고]재난기간 ‘베풂의 미학’

댓글 0 | 조회 19
권욱 소방방재청장전남 구례에 가면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라는 뜻의 운조루(雲鳥樓)라는 곳이 있다. 조선 영조 52년에 낙안 부사를 지낸 안동 사람 유이주가 세운 99칸 … 더보기

[부산일보][독자칼럼] 내일동 쌀독과 운조루 뒤주

댓글 0 | 조회 25
며칠 전 경남 밀양시 내일동에 무인 자선쌀독이 등장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동사무소 현관 모퉁이에 마련된 자선쌀독엔 독지가들이 장만한 쌀과 라면이 들어있고 주위에 가리개를 해 배고픈… 더보기
Now

현재 [경향신문] 운조루 벤치마킹한 광주의 쌀 뒤주 화제

댓글 0 | 조회 21
설 명절을 앞둔 25일 광주 서구 금호 1동 사무소에 ‘사랑의 쌀 뒤주’(사진)가 등장했다.이날 금호 1동 사무소 입구 현관엔 직원과 주민 등 110여명이 나와 ‘쌀 뒤주’ 설치식… 더보기

[오마이뉴스] 옛 부귀의 흔적과 누런 가을빛의 묘한 대조

댓글 0 | 조회 25
▲운조루거대한 산 지리산은 사방으로 열릴 만한 곳 어디에나 우람한 골을 열고 있다. 남쪽으로 난 골 가운데 서쪽에서부터 문수골, 피아골, 화개골, 악양골 등은 너른 벌과 우렁찬 계… 더보기

[경향신문] ‘운조루’ 지키는 곽영숙씨

댓글 0 | 조회 20
섬진강이 지리산을 부둥켜 안고 가는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운조루(雲鳥樓·국가지정민속자료 제8호). 전국 팔도에서 몰려든 답사객들은 물론 풍수가들도 문턱이 닳도록 찾는 집이다.… 더보기
언론보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