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에서 19번 국도를 따라 하동으로 가다보면 왼쪽으로 영봉 노고단이 보이는데 그 품안에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상징 ‘운조루(雲鳥樓)’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집은 조선 영조 때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柳爾胄, 1726∼1797)라는 분이 세운 집으로, 당호는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 중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오르고(雲無心以出岫), 새들은 날기에 지쳐 둥지로 돌아오네(鳥倦飛而知還)’라는 구절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구름 속의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 되겠습니다.
이 집이 오늘날까지도 그 명성을 자랑하는 것은 이 집이 실천한 베품의 정신 덕분입니다. 이 집은 이웃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도록 커다란 뒤주에 쌀을 담아놓고 누구든지 꺼내어 가게 하였습니다.
이 뒤주는 지금도 이 집 곳간채에 남아 있는데, 둥그런 통나무를 파내어 만든 이 뒤주의 아랫부분에는 가로 5cm, 세로 10cm 정도의 조그만 직사각형 구멍이 있습니다. 구멍을 여닫는 마개에 써 붙인 ‘타인능해(他人能解)’라는 넉 자가 바로 이 집안의 나눔 정신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주인이 아닌 다른 사람도 누구나 마음대로 이 마개를 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 마개를 옆으로 돌리면 쌀이 나왔는데 사람들은 한 되나 두 되 정도를 가져갔다고 합니다.
이 집안에서는 쌀을 가져가는 사람이 주인과 얼굴이 마주치지 않게 이 뒤주를 곳간채에 놓아두었습니다. 그리하여 쌀을 가져가는 사람들의 자존심을 배려하고 있습니다.
운조루에서 지은 논농사가 2만여 평. 연평균 200가마를 수확하였는데, 쌀뒤주에 들어간 쌀이 1년에 36가마 분량이었으니 이 집안은 1년 소출의 약 18%를 없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로 지출한 것입니다.
이 집의 주인은 수시로 쌀뒤주를 점검하여 만약 쌀이 남아 있으면, “우리의 정성이 부족한 모양이다. 당장에 이 쌀을 어려운 이웃에게 나누어주어라. 항상 그믐날에는 뒤주에 쌀이 없게 하라!”는 당부를 며느리에게 하였다고 전해집니다.
동학과 여순반란사건, 6·25 좌익들의 주 활동 공간이 지리산 노고단입니다. 이 격동을 감당해야 했던 노고단 밑에 자리 잡은 운조루가 그 험한 풍파에도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이 집안에서 실천한 베품 덕분으로 보입니다.
동물들은 생태계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있어서 큰 변고가 일어나면 반드시 대처행동을 보인다고 합니다. 사람도 예지력이 뛰어난 경우, 미세한 변화를 놓치지 않고 행동으로 옮긴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조선시대 어떤 부자는 어느 날 솔개가 자기 집 마당에서 놀고 있던 병아리를 채가는 모습을 보고도, 주변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었다고 합니다. 솔개가 병아리를 채어가는 모습에서 곧 일어날 국난을 감지하고 어차피 나갈 재산이라면 그 전에 어려운 사람부터 구하겠다는 판단이었던 것입니다. 그리하여 그 집은 왜란과 호란 등의 난리를 겪었지만 이웃사람들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운조루도 이에 해당합니다. 보면 구름 속의 운조루, 사실은 사람들의 가슴 속에 둥지를 튼 새(鳥)집이었습니다.
운조루 터는 여러 형국으로 회자되고 있는 명당입니다. 선녀가 끼고 있던 금가락지를 떨어뜨린 이른바 금환낙지형(金環落地形), 다섯 가지 보물을 번갈아 얻을 수 있다는 이른 바 오보교취형(五寶交聚形形), 날아가던 다섯 마리 봉이 내려앉아 둥지를 트는 형국인 이른 바 오봉귀소형(五鳳歸巢形), 또한 금거북이가 진흙 속에 몸을 숨긴 형국이라는 이른 바 ‘금구몰니형(金龜沒泥形)’ 등이 그것입니다.
이처럼 이곳이 여러 명당으로 불리는 것은 그곳이 처음부터 명당이었다기 보다는 그 땅 주인이 그곳을 명당으로 만들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그 정신이 바로 ‘타인능해’ 정신이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