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유문학] 나눔의 미덕 - 유응교 교수

운조루 0 18

글: 근암 유응교 (전 전북대 교수)


 


운조루는 1776년에 류이주가 낙안군수로 재직할 당시에 풍수지리상으로 아주 좋은 길지라하여 전라남도 구레군 토지면 오미동에 집터를 정하고 99칸 규모의 대 저택을 건설하면서 바깥사랑채에 운조루라는 현판을 걸었기에 민속자료로 지정할 당시에 붙여진 이름이다.


중국의 도연명이 그 유명한 시 귀거래혜사에서 “구름은 마음대로 산을 넘나들고 새들은 날기에 지쳐 둥우리로 돌아가는데 나는 언제 고향으로 돌아서 가리.”라고 읊은 데서 구름 “운”자와 새 “조” 자를 인용하여 운조루라 명명한 것으로 보아 벼슬을


파워》에서 인용) 류이주는 평소에 손님 대접하기를 좋아했고 시인묵객들이 늘 사랑채에서 쉬어가곤 했는데 대접을 소홀히 하면 며느리에게 엄하게 꾸짖었다고 한다. 특히 식구는 많고 가난한 이웃들이 끼니때가 되면 밥 지을 쌀이 없는 경우를 생각해서 주인의 눈에 띄지 않는 문간 행랑채에 쌀 두가마니 반이 들어가는 쌀뒤주를 원통으로 된 나무로 만들어 세워놓고 그 안에 쌀을 가득 채워 놓았다고 한다.


 



그러면 사람들은 쌀뒤주 앞에서 타인능해(他人能解)라고 써놓은 마개의 손잡이를 돌려서 쌀이 아래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끼니를 끓일 수 있을 만큼의 쌀을 빼어 가지고 갔다고 한다. 한꺼번에 많이 쌀을 가져간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늘 쌀이 채워 있으니까 쌀을 필요이상으로 가져갈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여기에 적힌 타인능해란 다른 사람이 마음대로 마개를 풀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특히 쌀을 가져가는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하기위하여 쌀뒤주를 주인의 눈에 띄지 않도록 한 점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 당시 2만 여 평의 논농사에서 수확한 200여 가마니의 쌀 중에 36 가마니의 쌀이 이웃을 위해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이웃을 사랑하고 적선을 베풀었기에 온갖 수난과 국난을 당했어도 목조주택이 230여 년이 지난 오늘날 까지 온전히 불타지 않고 전해 내려오게 되었다.





상생의 미덕, 낙안군수



운조루의 주인인 류이주가 낙안군수로 재직할 당시에 병들고 가난한 낙안군민을 친 자식처럼 돌봐주고 어려움이 있으면 즉시 해결해주는 선정을 베풀면서 상생의 기본 정신을 살려 군정을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모든 낙안 군민들이 우러러 추앙하고 부모처럼 따랐다고 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 왕으로부터 낙안읍성을 떠나 타지로 발령이 나자 온 군민이 가는 길을 막고 엎드려 울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오고 있으며 그들이 류이주의 공덕비를 만들어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일반 백성에 대한 깊은 사랑과 더불어 잘사는 상생의 선정을 베풂이 어느 정도였는지 미루어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쌀이 남아 있으면 손님 대접이 소홀한 것 아니냐고 며느리를 질책



운조루에는 선대의 정신을 이어받아 후손들이 백여 년 동안 하루도 빼놓지 아니하고 농가일기와 생활일기를 기록하여 후세에 남겨 놓았는데 이와 같은 기록 문화는 세계에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다. 이 일기에는 대부분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온갖 애경사시에 어떻게 도움을 주었는지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다른 사람에 대한 깊은 관심과 배려가 잘 나타나 있는 일기를 통하여 얼마만큼 애정을 갖고 다른 사람을 돌보아주었는지 잘 알 수 있다. 특히 연말에 곳간의 쌀뒤주에 쌀이 많이 남아 있으면 평소에 손님 대접이 소홀한 것이 아니냐고 하면서 며느리를 질책했다는 기록이 일기에 있는 것으로 볼 때 얼마나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가 깊었는지를 알 수 있다. 또, 집안의 굴뚝 높이도 한사코 낮게 만들어 밥 짓는 연기가 가난한 이웃사람들에게 눈에 띄지 않도록 한 점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공동체를 위한 사회적 책임은 특정계층만의 의무가 아니라 평범한 시민들도 반드시 실천해야할 덕목이다. 지구상에 살고 있는 우리 모두는 세계인의 평화와 안녕을 위하여 나눔과 상생의 기부 문화를 몸소 실천함으로써 시티즌 오블리주를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Comments

[대구일보] 조선 최고의 명당 운조루

댓글 0 | 조회 21
남원에서 19번 국도를 따라 하동으로 가다보면 왼쪽으로 영봉 노고단이 보이는데 그 품안에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상징 ‘운조루(雲鳥樓)’가 자리하고 있습니다.이 집은 조선 영조 때 삼… 더보기

[새전북신문] 운조루의 나무 다리

댓글 0 | 조회 28
오동은 천년을 묵어도 자기 곡조를 간직하고(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매화는 일생을 추워도 자기향을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 더보기

[동아일보] 윤세영의 따뜻한 동행 -타인능해

댓글 0 | 조회 18
윤세영 수필가지난주에 서울 인사동의 한 식당에 들어갔더니 주문한 음식이 나오기 전에 떡부터 내왔다. “웬 떡이냐?”고 물으니 딸이 대학에 합격해서 기쁨을 나누려고 한다는 것이다. … 더보기
Now

현재 [산수유문학] 나눔의 미덕 - 유응교 교수

댓글 0 | 조회 19
글: 근암 유응교 (전 전북대 교수)운조루는 1776년에 류이주가 낙안군수로 재직할 당시에 풍수지리상으로 아주 좋은 길지라하여 전라남도 구레군 토지면 오미동에 집터를 정하고 99칸… 더보기

[한겨레] 유물로 보는 ‘종가’의 나눔과 배려

댓글 0 | 조회 19
타인능해(他人能解). 구례 운조루에 있는 뒤주 구멍에 적힌 글귀다. 남들도 구멍을 열어 쌀을 가져갈 수 있다는 뜻으로 주변에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는 문화 류씨 종가의 가훈이 적… 더보기

[독서신문] ‘나눔’과 ‘배려’

댓글 0 | 조회 18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는 영조 때(1776년) 낙안군수 류이주 선생이 지은 ‘운조루(雲鳥樓)’가 있다. 운조루는 조선왕조 양반가옥의 모습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데 7년간의 대공… 더보기

[조선일보] 양택 명당 운조루(雲鳥樓)

댓글 0 | 조회 27
민속자료8호로 지정된 이곳은 '조선의 풍수'를 지은 일본의 풍수지리학자 무라야마지준의 글에도 소개된 명당이다. 운조루에서 신기한 것은 집 입구의 연못과 도랑(앞도랑의 물길과 섬진강… 더보기

[동아일보] 나누는 자본주의 운조루

댓글 0 | 조회 23
어느 해 봄 섬진강을 따라 꽃놀이를 가다가 우연히 행랑채가 학의 날개처럼 좌우로 좍 펼쳐진 집을 만났다. 당연히 궁금하여 들어가 물었더니 그 집이 바로 그 유명한 운조루(雲鳥樓)였… 더보기
언론보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