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유물로 보는 ‘종가’의 나눔과 배려

운조루 0 19

타인능해(他人能解)


타인능해(他人能解). 구례 운조루에 있는 뒤주 구멍에 적힌 글귀다. 남들도 구멍을 열어 쌀을 가져갈 수 있다는 뜻으로 주변에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는 문화 류씨 종가의 가훈이 적용된 사례다.


이처럼 ‘한 문중에서 맏이로만 이어온 큰집’인 종가의 남다른 점을 전래 유물과 집안 어른의 증언으로 보여주는 ‘종가 특별전’(내년 2월24일까지)이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린다. 전국 종가 22곳에서 모은 물건들과 현대작가들의 미디어작품 등 156건 238점을 모아 종가 사람들의 나눔과 배려, 사회적 실천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가장 상징적인 것은 농암 이현보 종가의 애일당(愛日堂) 현판. ‘효도 하는데 하루하루를 아낀다’는 뜻을 담았다. 500년전에 남녀귀천을 가리지 않고 노인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벌인 그림이 수록된 ‘애일당구경첩’(보물 제1202호), 선조가 농암의 아들한테 “너의 집은 적선지가가 아니냐”며 하사한 어필 현판 ‘적선(積善)’도 함께 전시한다.



종가는 남자를 통한 적통 외에 종부를 통한 음식, 예절 등 가풍이 이어지는데, 진성 이씨 노송정 종가 18대 종부 최정숙이 며느리한테 보내는 편지, 1840년 김제 인동장씨 문중의 종부였던 남양홍씨가 막내며느리한테 쓴 편지도 처음으로 공개한다.



종가의 근현대 모습을 엿볼 수도 있다. 영남대를 일군 경주 최부잣집 최준이 값싼 여관에 머물 때 손자가 들고 다니며 수발했던 요강, 지역을 벗어날 수 없는 종손들이 직업삼았던 지역공무원증이나 교사 증명서 등도 눈에 띈다.



전시를 기획한 이건욱 학예사는 “이번 전시는 종가를 통해 사회의 지도층이 해야할 덕목을 되새겨 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mments

[대구일보] 조선 최고의 명당 운조루

댓글 0 | 조회 21
남원에서 19번 국도를 따라 하동으로 가다보면 왼쪽으로 영봉 노고단이 보이는데 그 품안에 노블리스 오블리주의 상징 ‘운조루(雲鳥樓)’가 자리하고 있습니다.이 집은 조선 영조 때 삼… 더보기

[새전북신문] 운조루의 나무 다리

댓글 0 | 조회 29
오동은 천년을 묵어도 자기 곡조를 간직하고(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매화는 일생을 추워도 자기향을 팔지 않는다(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달은 천번을 이지러져도 본바탕은 … 더보기

[동아일보] 윤세영의 따뜻한 동행 -타인능해

댓글 0 | 조회 18
윤세영 수필가지난주에 서울 인사동의 한 식당에 들어갔더니 주문한 음식이 나오기 전에 떡부터 내왔다. “웬 떡이냐?”고 물으니 딸이 대학에 합격해서 기쁨을 나누려고 한다는 것이다. … 더보기

[산수유문학] 나눔의 미덕 - 유응교 교수

댓글 0 | 조회 19
글: 근암 유응교 (전 전북대 교수)운조루는 1776년에 류이주가 낙안군수로 재직할 당시에 풍수지리상으로 아주 좋은 길지라하여 전라남도 구레군 토지면 오미동에 집터를 정하고 99칸… 더보기
Now

현재 [한겨레] 유물로 보는 ‘종가’의 나눔과 배려

댓글 0 | 조회 20
타인능해(他人能解). 구례 운조루에 있는 뒤주 구멍에 적힌 글귀다. 남들도 구멍을 열어 쌀을 가져갈 수 있다는 뜻으로 주변에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는 문화 류씨 종가의 가훈이 적… 더보기

[독서신문] ‘나눔’과 ‘배려’

댓글 0 | 조회 18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에는 영조 때(1776년) 낙안군수 류이주 선생이 지은 ‘운조루(雲鳥樓)’가 있다. 운조루는 조선왕조 양반가옥의 모습을 잘 나타내주고 있는데 7년간의 대공… 더보기

[조선일보] 양택 명당 운조루(雲鳥樓)

댓글 0 | 조회 28
민속자료8호로 지정된 이곳은 '조선의 풍수'를 지은 일본의 풍수지리학자 무라야마지준의 글에도 소개된 명당이다. 운조루에서 신기한 것은 집 입구의 연못과 도랑(앞도랑의 물길과 섬진강… 더보기

[동아일보] 나누는 자본주의 운조루

댓글 0 | 조회 23
어느 해 봄 섬진강을 따라 꽃놀이를 가다가 우연히 행랑채가 학의 날개처럼 좌우로 좍 펼쳐진 집을 만났다. 당연히 궁금하여 들어가 물었더니 그 집이 바로 그 유명한 운조루(雲鳥樓)였… 더보기
언론보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