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운조루(雲鳥樓) - 조영남의 유유자적(悠悠自適)

운조루 0 35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e2FiDXUAuWXr2zNiKN7x%2Fd1%2BTGc%3D

운조루(雲鳥樓) / 전남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103

국가민속문화재 제8호인 운조루는 

풍수학자들이 조선의 3대 길지 가운데 하나라고 일컬을 정도로 명당 중의 명당에 자리하고 있는데

운조루(雲鳥樓)란  '구름 속 새처럼 숨어 사는 집'이란 뜻과 함께 '구름 위를 나는 새가 사는 빼어난 집'이란 뜻도 있다

중국 도연명의 '귀거래사'의 한 구절인 

"구름은 무심히 산골짜기에 피어오르고 새들은 날기에 지쳐 집으로 돌아오네"에서 글자를 취했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gbHW9Lk04mVUIDWUxdxWgAmhyfk%3D

운조루(雲鳥樓)는 조선 영조 52(1776당시 삼수부사를 지낸 류이주/柳爾胄(1726~1797)가 세운 것으로

당시는 99칸의 대규모 주택이었으나지금은 70여 칸이 남아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대문 앞을 흐르는 냇물로 일차적으로 외부 공간과 구역을 정리한 뒤

남쪽에는 연지를 두었고  북쪽에는 대문간과 행랑채를 놓았다

집 중심에는 안채를 두고 남향의 건물군이 동서축으로 길게 배치된 장방형이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2BPPqUHwI876RasMNPi8ogUFK9Ec%3D

연지(蓮池)

이 연지가 있어 운조루의 운치가 더 살아나는 것 같다

연지는 북쪽의 계족산 화기(火氣)를 막으려고 조성했다고 한다

연못 가운데는 둥근 섬이 조성돼 있는데

이것은  천원지방(天圓地方),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라는 동양의 전통적 우주관이 깃들어 있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JmGnqmvwBpNub0jjUpM%2FGeN05F8%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rhOrBagv%2FR6revrOHBxwb4azlbY%3D

솟을대문 한 쪽에 놓여있는 원통형 쌀독 모형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expires=1756652399&allow_ip=&allow_referer=&signature=cm1f%2F4W4oD1%2FE8qAQllz0lGSlaA%3D

<참고사진> 집안에 고이 모셔져 있는 나무로 된 쌀독

쌀독의 아랫부분에 '타인능해(他人能解)'라는 한자가 보인다

 '누구나 뒤주를 열 수 있다'는 뜻으로

마을의 배고픈 사람은 누구나 쌀을 퍼 갈 수 있도록 개방해 놓았다

영남에 최 부자가 있었다면  호남에는 운조루가 있었던 것이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x276OoQsR74yn3S60XqUuNVDNHY%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zM9MVKb5%2BBQFFUF26B8owg2MQYI%3D

대문 안쪽에 걸려있는 '전라구례오미동가도(全羅求禮五美洞家圖)' 복사본

1800년 경 그려진 ''전라구례오미동가도'는 운조루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Rw3%2FbtfjzoEzbFXRn5fo4NZWO0U%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yqZOyrsg%2B5XUdmx6zwcE9EazZ7o%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YITK3JVUKmeXK16T9AqH5BJkKtE%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0QtWOPNCeS1CX8xzuaLhP1Gen%2Bs%3D

대문을 열고 들어서면 정면에 사랑채가 보인다

사랑채는 큰 사랑채와 아래 사랑채가 ㄱ자로 연결된 형태이고 안 사랑채는 소실되었다고 한다

안채는 지금 한창 공사중에 있었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lLB%2FzOZv1%2B1R2eRtVTLb5LsxtqA%3D

아래 사랑채인 귀래정에서 안채로 올라가는 길은

노약자와 장애인들을 위한 배려로 계단이 아닌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돋보인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301nW2OX7MbbYAKSGgPPJDCtqHk%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3TR4oiiMZ63aCfqCKi%2Bxtqr3Epc%3D

큰 사랑채와 연결된 누마루

집 주인이 손님을 접대하던 곳이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ZUffK%2FXi%2Bxw04p%2FvuBDIZhk3uFE%3D

솟을대문을 사이에 두고 18칸의 행랑채가 양쪽으로 일직선으로 이어진다

지금은 헛간과 창고, 마구간 등으로 쓰이지만 옛날에는 노복 수십 명이 기거했던 곳이다

 

 

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4mUwkpmgyw4JHwDPISbGNL%2FxClg%3Dimg.jpg?credential=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amp;expires=1756652399&amp;allow_ip=&amp;allow_referer=&amp;signature=3ELt4gXYcIpP0bSq5KRJsgqXa6Q%3D

위성류

류이주가 중국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가져온 나무로

진시황이 수도로 삼았던 곳의 옛 이름이 위성이며 버드나무를 닮은 나무라 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Comments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